본문 바로가기

영어회화/회화학습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

1. 어순

 

여기서 말하는 것은 단어의 순서 , 말의 순서를 말한다.

 

한국어와 영어는 문장 성분의 위치가 다르다.

 

보통 영어를 배울때 문법시간에 주어 + 동사 ( S + V )로 배운다

문장의 성분은 주어가 나오면 서술어가 짝이다.  


왜 서술어가 아닌 동사인가?      

 

한국어는 은, 는, 이, 가 라는 주격 조사가 있어 문장의 어느 위치로 옮겨도 주어라는 것을 안다.

하지만 영어는 조사가 없다  " John은, John을  "  이라고 쓰지 않는다 

 

John " 은 John " 일 뿐이다.

여기서,

John 만으로는 주어인지 목적어인지 알수가 없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영어에서는 순서를 둔다.

 

간단한 원리이지만 대부분이 동사 다음에 점을 찍는 우리말에 익숙해 있는 상황에서

영어 문장의 마침표가 있는 단어 성분이 동사가 아니라는 것을 받아들이기가 어렵다.

 

즉, 영어에서   동사(" 했다." , " 했어." )는  문장의 끝에 있지 않다.

 

 

수정 2016. 7.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