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집에서 서버 운영 할 경우 필요한 기능입니다.
Dynamic DNS
is a method, protocol, or network service that provides the capability for a networked device, such as a router or computer system using the Internet Protocol Suite, to notify a domain name server to change, in real time (ad-hoc) the active DNS configuration of its configured hostnames, addresses or other information stored in DNS.
IP 라는 것은 쉽게 말해서 집주소의 개념과 비슷하다.
즉 각각의 컴퓨터 단말기에 주소를 할당하는데 이 주소가 IP 다 .
( IPv4 로 그 많은수를 다 할당할수 없기에 IPv6 라는 개념이 나왔음 )
전세계 각각의 컴퓨터 주소를 숫자로 표현하면 몇자리 수가 되어야 할까?
암튼 집전화나 핸펀 번호보다는 길다는 것은 쉽게 짐작 할 수 있다
만약 이 숫자를 외워서 주소창에 넣어 포털사이트 같은 곳을 찾아가기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이 긴 숫자를 알기 쉬운 일상 언어로 된 글과 연결해서
그 위치로 갈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바로 DNS( Domain Name System ) 다
일반 가정에서 쓰고 있는 인터넷선은 대부분이 유동IP다
전부 숫자로된 논리주소인데 이 주소가 자꾸 변한다는 소리다 ( 주소의 유한성 )
고정된 숫자 주소이면 한번 연결해 놓으면 계속 그 주소로 가겠지만
이 숫자가 자꾸 변하면 원래 연결했던 글자 주소는 더이상 그 숫자 주소를 찾을수 없게 된다
쉽게 말해서 핸펀 번호 111-111-1111을 홍길동이 쓰고 있었는데
핸펀 번호를 바꾼 것이다 기존에 있던 번호로 걸어도 홍길동이
안 받는 것과 같은 내용이다
이 바뀌는 숫자 주소를 도메인과 연결 해주는 기능이 DDNS 다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라고 보면 쉽다
요즘 나온 공유기들은 거의 다 DDNS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능만 가지고 있다고 해서 바로 쓸수 있는것이 아니라
DDNS 기능을 중계해줄 DDNS 서버도 있어야 한다
DDNS 서비스 사이트에 가입이 필요하긴 하지만,
이것도 요즘은 공유기 회사 자체에서 DDNS 서버를 운영하기에
사이트 가입절차 없이 바로 이용할수 있는 것으로 안다
써보지 않아 안정적인 서비스 인지는 아직 모르겠다...
그외 무료 DDNS 서비스도 서비스도 있으니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컴퓨터조립_OS > 서버_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X 레코드 (0) | 2009.05.23 |
---|---|
도메인 구입 회사와 웹호스팅 회사가 다를 경우 설정 (0) | 2009.05.23 |
DNS 서비스 / 네임서버 (0) | 2009.05.23 |
오픈소스 license 정보 시스템 (0) | 2009.05.09 |
VPN (0) | 2009.05.02 |